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김현미 국토부 장관 ‘첫 출근’

기사승인 2017.06.23  11:41:27

공유
default_news_ad1

- 차관급 '광역교통청 설립' 무게 실려

[토목신문 김재원 기자] 강호인 국토교통부 전 장관이 지난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임식을 가졌다. 이로써 국토부는 김현미 신임 장관이 이끌게 됐다.

이임사에서 강 전 장관은 "자율주행차나 드론을 포함한 국토교통 7대 신산업이 미래 국토교통부의 도약은 물론 한국 경제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해외전문가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장차 세계 속 국토부, 다른 국가들이 벤치마킹하고 싶어 하는 국토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이임식에는 국토부 각 실국 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다음 날인, 23일 김현미 장관이 첫 출근을 했다.

김 신임 장관은 전주여고,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6대, 17대, 19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위원, 원내정책수석부 대표, 국회 기재위 위원,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거쳤으며 16대 국회의원 당시 노무현 대통령비서실 정무2비서관을 지내기도 했다.

한편, 김현미 장관의 본격적인 임기가 시작됨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광역교통청 설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토부 산하의 차관급 청이기 때문이다. 관련 법안까지 마련돼 김현미 국토부 장관의 첫 서민교통정책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3일 국회와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정부는 기존 수도권 교통본부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의 광역교통청 신설을 추진 중이다.

수도권 교통본부는 수도권 광역 교통체계 확립과 교통 문제에 대해 공동 대응 할 수 있도록 지난 2005년 서울과 경기, 인천 등 3개 광역지자체가 설립한 기관이다.

수도권 교통본부는 △수도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건설 △종점 교통량 조사 △광역버스 노선 조정 등의 성과를 거뒀지만 지자체조합이란 한계 탓에 법적 권한이 약해 정작 지자체간 첨예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실제 3개 광역지자체는 대중교통 체계를 놓고 버스와 전철,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 존치에 대한 견해차로 갈등이 깊어지고 있지만 수도권 교통본부가 중재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광역교통청 설립을 공약으로 발표했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도 인사청문회를 통해 "광역교통청 신설에 대해 종합적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대도시 주변에 신도시 개발 등으로 광역교통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광역버스·전철이 매우 혼잡한 상태"라며 "일본이나 미국 등 선진국의 대도시권에서도 광역교통 행정기구를 운영 중이며 광역교통청 설립 과정에서 지자체에서 우려하는 바가 없도록 전문가 등과 충분히 협의하고 해외 사례를 참고해 종합적으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 등 관계부처에선 이미 광역교통청의 규모와 역할 범위를 검토 중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버스노선 등 교통체계의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교통청장의 직급을 차관 수준으로 맞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광역교통청은 중앙과 지방이 공동 대응할 수 있도록 국토부 산하에 두는 대신 독립적인 인·허가권을 갖게 된다.

정치권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경우 이미 지난해 9월 같은 맥락의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같은 해 10월엔 정병국 바른정당 의원이 광역교통청 신설을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내놨다.

국토부에서도 광역교통청이 신설되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수도권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한 정책이 속도를 낼 것이라고 보고 있다. 광역지자체간 정책조율이 용이해지면서 노선이나 부지선정 등의 갈등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광역버스(M-버스)의 노선 확대나 신설, 교통편의 조율을 위한 정책지원도 빨라진다.

한 전문가는 "광역교통청의 신설은 이미 지자체와 정부, 정치권의 합의가 무르익은 상태"라며 "이에 따라 서민교통편의 확대를 주요정책으로 손꼽아온 김현미 장관의 첫 정책성과가 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김 장관은 문재인 정부 1기 내각 후보자 가운데 국회 인사청문 보고서가 채택된 것은 이낙연 총리, 서훈 국정원장, 김동연 기획재정부 장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어 일곱 번째다.

 

김재원 기자 kjw@cenews.co.kr

<저작권자 © 토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