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GTX 개통 시, 통행시간 '30분 이상' 감소 예상

기사승인 2020.05.14  13:44:13

공유
default_news_ad1

- 국토硏, "대중교통 이용 유도하는 교통정책 및 환승시설 구축 필요"

2030년 기준 GTX 개통 이후 권역내 통행시간 감소와 접근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KTX와 SRT 등 고속교통시설 도입 이후 통행행태 변화를 고려할 때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개통 이후 장래 정차역 주변의 지가상승으로 인한 거주지 이전 현상과 이에 따른 영향권 확대 가능성 등 주요 이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토연구원 김호정 선임연구위원 연구팀은 주간 국토정책Brief『수도권 고속교통체계 구축에 따른 통행 변화와 향후 정책과제』을 통해 GTX 건설 이후 수도권의 시공간 면적 변화 분석결과와 정차역별 특성을 고려한 교통정책 방향 등을 제안했다.

연구팀은 GTX 정차역 주변은 대중교통 통행량이 약 5~10% 증가하고, 반대로 승용차 통행량은 약 5% 감소될 것으로 봤다. 통행시간이 30분 이상 감소되는 수혜 인구수는 시청행​ 기준으로 약 190만 명, 삼성역행 기준으로 약 270만 명으로 분석됐다.

GTX-A·B·C 노선 완공 시, 수도권 접근성 개선 면적은 시청역행 기준 4,366㎢(36.1%), 삼성역행 기준 3,243㎢(26.8%)가 해당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GTX 정차역을 중심으로 인구수와 종사자수를 분석한 결과, 반경 3㎞ 내 인구수는 연신내역, 망우역, 인천시청역, 창동역, 신도림역, 광운대역이 높고, 종사자수는 삼성역, 여의도역, 신도림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TX 정차역의 거주인구수와 종사자수 분포는 정차역별 특성을 고려한 교통정책 수립에 기준이 될 수 있다. 종사자수가 높은 정차역은 직장까지를 연결하는 접근서비스 개선에 집중하고, 거주인구수가 높은 정차역은 정차역 개통 이후 지가 변화로 인한 주거이동 등의 변화에 대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GTX-A 노선의 잠재적 이용자와 해당 영향권 거주가구를 대상으로 통행행태와 주거이동 변화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경기지역(킨텍스 / 동탄역세권) 거주자들의 출근통행 시간·비용(일 78분, 월16.6만원)은 서울에 비해 약 1.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세 세입자가 전세 세입자보다 주거비와 교통비 변동에 민감하여 주거비가 절감된다면 이주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신내 인근 거주자는 주거비 절감을 위한 외곽의 새로운 주거지 이주를 긍정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서 역세권의 경우에는 현재 주거지가 역에서 멀수록 주거 이전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킨텍스 역세권 주변 거주자들은 주거비가 감소되어도 외곽으로 이전할 의사가 높지 않지만, 승용차로 통근하는 거주자를 중심으로 이주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탄역 인근 거주자는 GTX 개통 이후 외곽으로 이전할 의사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호정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GTX 개통으로 나타나는 수도권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응하여 기존의 고도화된 도심과 강남의 집중 현상을 분산할 수 있는 거점화 대안 마련 등에 활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미 착공한 GTX-A 노선의 정차역별 정책과제로 1~3㎞ 이내에 주거지와 상업지가 입지하고 기개발된 정차역(수서역, 연신내역)의 경우 승용차를 이용한 접근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교통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어서 정차역이 경기도 지역에 위치하고, 주변 신도시의 출퇴근 통행을 지원하는 경우, 승용차를 이용한 정차역 접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환승주차장과 연계된 환승시설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강형진 기자 khj@cenews.co.kr

<저작권자 © 토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