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철도의날 기획] 한국형 기술 국산화, 역세권 개발에 ‘최선’

기사승인 2018.07.17  15:34:56

공유
default_news_ad1

- 인터뷰- 한국철도시설공단 김상균 이사장

[토목신문 김재원 기자] 지난 해 까지 철도의 날은 매년 9월 18 이었다. 이 날로 지정된 이유는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노량진~제물포 간 경인선의 개통일인 1899년 9월 18일을 기념하기 위해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철도의 날에는 가슴 아픈 비극이 있다. 일제에 의해 지난 1937년에 지정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2016년 국회에서는 ‘철도의 날 재지정 촉구 결의안’이 발의됐다. 그리고 결국 지난 5월 8일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올해부터 6월 28일이 철도의 날로 변경이 됐다.

6월 28일로의 지정은 큰 의미를 가진다. 1894년 6월 28일,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오늘날 국토교통부와 같은 ‘공무아문’이라는 조직이 생겨났고, 그 산하에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기관인 ‘철도국’이 창설된 날이기 때문이다.

결국, 일제 잔재 청산과 민족 자주성 회복을 위해 새로운 철도의 날이 지정됐고, 역사를 바로 세우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지는 새롭게 지정된 철도의 날을 기념해 ‘철도의 날 기획’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한국철도시설공단 김상균 이사장(사진)을 만나 앞으로 추진 될 철도 정책에 대해 들어봤다.
<편집자 주>

인터뷰- 한국철도시설공단 김상균 이사장

 
철도 기술력 강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항이 있다면.

지난 2010년 경부고속철도를 해외 기술에 의존해 개통한 이후, 철도공단은 철도산업 전반에 대한 기술자립과 글로벌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공사, 철도건설사업 협력업체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과 연구개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15년 ‘철도기술개발 사업전략’을 통해 4대 전략방향을 수립하고, 미래철도 기술선도, 해외사업 진출 기반 강화를 위해 국가 R&D 과제, 철도공단 자체 기술연구개발, 국내 중소기업과의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 등 다양한 연구개발 과제를 진행 중입니다.

또한 공단은 과거 수입에 의존하던 철도 핵심분야에 대해 한국형 철도기술 개발을 목표로 ‘Hi FIVE(High Five Innovative Valuable Engineering)’ 5대 기술혁신을 추진해, 경부고속철도 2단계 당시 81.9%이던 철도 핵심기술 국산화율을 지난해 말 기준 95.2%까지 끌어 올렸습니다.

특히나 철도공단은 국가 R&D로 LTE-R 기술을 적용해 열차와 열차, 열차와 선로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열차 스스로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는 차세대 열차제어시스템(ETCS L3 열차제어시스템) 기술개발을 착수하기도 했습니다.

제3차 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사업은.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에는 호남고속선(광주∼목포)등 기 수행중인 47개 사업(2,394.9km)과 경부고속선(수색∼광명) 등 신규 36개 사업(1,719km), 추가검토 20개 사업(942.1km)이 포함돼 있습니다.

우선 공단은 철도용량부족 해소, 철도운영 단절구간 연결 및 시설수준 일치 등을 통한 철도운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급격히 늘어나는 고속철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중인 평택∼오송 2복선전철 사업의 통과를 위해 국토부와 함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대도시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B·C, 수인선(수원∼인천), 진접선(당고개∼진접), 신안산선 사업 등도 추진 중에 있으며, 주요 산업단지와 항만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를 통한 철도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입철도 건설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번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내(∼2025년) 사업 완료 시, 영업거리의 변화(2014년 3,729km → 2026년 5,364km)와 전철화 연장(2014년 2,595km → 2026년 4,421km)의 대폭 향상 등 철도 경쟁력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고속 및 고속화철도(준고속철도) 운행용량 확보로 수도권과 지역 간, 지역 주요거점 간의 원활한 교류가 이루어져 도로대비 속도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수도권 내 고속통행 실현으로 통근시간 30분대로 단축돼 국민 삶의 질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최근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통일시대를 대비한 철도망 구축사업도 보다 활기차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민자사업과 관련해 진행되는 사안이 있다면.

올해 중점 추진되는 민자사업은 수도권 외곽북부 지역과 서울 주요 거점역을 20분대로 연결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과 안산·시흥 등 수도권서남부 지역의 광역교통문제 해소를 위해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도시철도분야에 KTX를 도입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도시교통체계를 완전히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과 함께 협상·실시설계를 병행해 연내 착공을 목표로 국토부와 긴밀히 협력해 조속히 추진할 것입니다.

역세권 개발현황에 대해 설명한다면.

공단의 역세권개발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국유철도부지(역사, 주차장, 광장, 폐선 등)를 활용한 개발사업이고, 다른 하나는 철도역과 주변지역(사유지)을 포함한 도시개발사업 형태의 대규모 역세권개발 사업입니다.

공단은 그 동안 철도부지를 활용한 복합역사, 레일바이크, 환승센터 등의 개발을 주로 추진했지만, 지난 2010년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대규모 도시개발사업도 추진 중입니다.

현재 공단은 수서역세권개발을 비롯한 대규모 역세권개발사업(4개), 복합역사 개발사업(8개), 유휴부지 개발사업(5개), 환승센터 개발사업(4개), 폐선·폐역 개발사업(6개) 등 총 27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 중 10개 사업은 이미 SPC를 설립해 현재 운영 중이거나, 공사 및 인허가 중이며 나머지 사업도 SPC 설립을 통해 사업을 추진 예정입니다.

또한 공단은 향후 개발사업을 50개까지 확대해 단순히 철도역을 건설하는데 그치지 않고 역과 주변지역의 개발을 통해 철도역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을 집약시켜,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대중교통지향형 개발)를 기반으로 철도역이 도시의 중심이 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개발사업 확대에 따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김재원 기자 kjw@cenews.co.kr

<저작권자 © 토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